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둔 주말인 11일 유가족과 시민들이 정부시행령 폐기를 촉구하며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거리 행진을 벌였다. <br /><br />이날 밤 11시 30분 현재 경찰은 캡사이신을 뿌리며 유가족 등 행진 참가자들과 6시간 넘게 대치 중이며, 유가족 3명을 포함해 20명을 경찰관을 폭행한 혐의 등을 적용해 현행범으로 체포했다.<br /><br />앞서 이날 저녁 5시 30분부터 서울 광화문광장에서는 주최 측 추산 8000명, 경찰 추산 2400명이 모인 가운데 ‘기억하라 행동하라 정부시행령 폐기 총력행동’ 문화제가 열렸다.<br /><br />‘정부시행령 폐기하라’, ‘세월호를 인양하라’라는 노란색 피켓을 든 채 참가자들이 가득 메운 광장에서는 유가족들의 발언으로 본 행사가 막이 올랐다.<br /><br />416가족협의회 전명선 운영위원장은 “참사 1년이 다 되도록 정부는 어떤 행태를 보이고 있느냐”면서 “돈을 언급하며 희생자들을 모욕하고 있다. 600만 국민이 만든 특별법 자체를 무기력하게 만들기 위해 정부시행령을 발표했다”고 말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“세월호 선체를 인양해 실종자를 완전히 수습하고, 진상 규명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국가의 책임이고 의무”라면서 “선체 인양에 대한 답변은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해야 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<br /><br />국민대책회의 이태호 공동운영위원장은 “가족을 잃은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원하는 진실은 1년 동안 밝혀지지 않았다”고 발언한 뒤 이른바 ‘성완종 리스트’를 언급하면서 “반부패 코스프레를 하는, 말끝마다 거짓인 정부를 만나러가자. 다함께 행동하자”고 말했다.<br /><br />오후 7시부터 유가족들이 선두에 선 채 문화제 참가자들은 청와대를 향해 행진을 시작했지만 경찰은 곧바로 불법집회라면서 해산 명령을 내렸다.<br /><br />경찰이 밟으면 넘어지지 않는, 2m 높이의 뒤집힌 T자 모양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된 질서유지선으로 가로막자, 일부 유가족은 질서유지선을 두드리면서 "길을 열어달라"고 호소했고 경찰의 방패 끝을 잡은 채 "도대체 우리에게 왜 이러느냐"고 외치다 길에 주저앉기도 했다.<br /><br />유가족과 시민들은 한동안 대치한 뒤 오후 8시부터 종로 방향으로 틀어 종각역과 명동, 서울광장을 거쳐 다시 광화문광장으로 모였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큰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지만, 일부 참가자들은 다시 청와대를 향해 행진을 재개했다.<br /><br />경찰은 오후 9시 30분쯤부터 캡사이신(최루액) 등을 뿌리면서 같은 장소에서 막아섰고, 행진 참가자 일부는 물병을 던졌다.<br /><br />경찰은 지금까지 모두 20명을 연행했다.<br /><br />한편, 이날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전국 곳곳에서 추모 행사도 진행됐다.<br /><br />세월호 일반인 유가족과 특별조사위원회는 진도 팽목항과 사고해역을 찾아 참사 현장을 둘러보고 헌화 등 희생자들을 추모했다.<br /><br />세월호 문제해결을 위한 안산시민대책위원회는 안산 합동분향소 앞에서 집중행동 선포식을 열어 세월호 특별법 폐기를 요구하면서 단원고까지 도보행진을 했다.<br /><br />시인과 소설가 등 문학인들은 광화문광장에서 토론회를 열었고, 참여연대는 종로구 일대에서 ‘엄마 아빠 미안해 그리고 사랑해’라는 추모 포스터를 걸고 노란 리본과 배지를 나눠주면서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자는 캠페인을 벌였다.<br /><br />이밖에 전국 각지에서도 세월호 선체 인양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이 진행됐고, 강원도 속초에서는 청소년들이 모여 인간 리본 만들기와 거리 행진 도중 4분 16초 동안 가만히 있는 퍼포먼스도 했다.